자우당 소개
`태극서체`의 창시자이자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 ‘용의 눈물’ 타이틀 글씨와 사극에 사용되는 병풍 소품 글씨로 유명한 초당 이무호 선생이 쓴 자우당 편액 글씨와 주련 8폭이 남아 있다.
화암사 최고(最古) 원불이신 약사여래부처님
자우당에 모셔져 있는 화암사에서 가장 오래된 불상인 목조 약사여래 불상은 최근 강원도문화재로 지정받았다. 원래 영조 24년(1748년) 평강 보월사에 봉안되었다가 고종 19년(1882년) 철원 장구사에서 자허, 선월 두 스님의 주도하에 화암사에 이운되었다. 지금의 백담사 극락보전에 모셔져 있는 보물 제1182호 목조 아미타불좌상도 이 때 함께 모셔졌다가 다시 백담사로 이운되었다. 그러나 세 분 중 한 분인 석가여래불은 6.25 혼란기에 사라져 안타깝게 지금까지 그 행방을 모르고 있다.
약사여래부처님의 특징으로는 부처님의 머리에 정상계주가 큼직하게 솟아 있고 육계의 구분이 불분명하며, 나발이 촘촘하게 표현되어 있고, 얼굴은 둥글고 단아하여 당시 사각형, 평판적인 얼굴보다 우수한 편이다. 또한 눈이 가늘고 입이 작으며 코가 돌출하여 독특한 인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체와 가슴이 넓고 어깨가 둥글어 당당한 인상을 주며 하체의 앉아 있는 형태도 넓고 큼직하여 상체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두 손은 시무외인, 여원인으로 엄지와 중지를 맞댄 하품중생인을 짓고 있고 두발은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통견불의는 두꺼운 편인데, 옷 주름이 돌출하고 어깨의 Q주름과 무릎사이 주름들이 곡선으로 처리된 점, 가슴은 U자형 중복주름이나 가슴의 내의 상단주름의 곡선인 주름들은 조선초기의 특징으로 내려온 것으로 불상을 좀 더 돋보이게 한다. 당시 이러한 특징은 18세기 전반의 목불상 중에 대표작인 수작으로 평가되고 있다.